
통계적 결론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도 낮은 측정 연구에 사용된 측정의 신뢰도가 낮으면 이른바 오차변량이 커지며 이는 통제적 검증력의 약화를 초래한다. 신뢰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그 측정은 어떤 변인과도 상관을 가지지 못한다. 예컨대 칼로리 섭취량과 체중과는 정적 상관이 있다고 믿어지는데, 만약에 측정할 때마다 결과가 변하는 신뢰할 수 없는 저울로 체중을 측정했다고 상상해 보라. 결과는 칼로리 섭취량과 체중 간에 상관이 없다고 나왔을 것이다. 즉 측정의 신뢰도 문제는 이렇게 통계적 결론 타당성을 위협한다. 신뢰성이 낮은 처치 상담연구에서 처치는 독립변인으로 활용된다. 연구자는 독립변인인 처치를 매우 주의 깊게 개발하고 실시해야 한다. 그런데 이것이 사실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예컨대, 내담자중심상..
통계적 결론 타당성 연구에서 통계적 결론이라는 것은 추리통계에 관한 것이다. 추리가 없는 기술통계라면 검증의 절차가 없기 때문에 추리에 의한 결론을 내릴 필요가 없으며 이 결론의 타당성을 논할 필요도 없다. 통계적 검증에는 여러 가지의 절차가 있지만 여기에는 몇 가지 필수적인 요소들이 있다. 첫째는 통계적 검증은 표본 모집한 자료를 가지고 전체집단의 내용을 추정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추리통계라고 칭한다. 어떤 상관계수가 의미 있다고 결론짓는 것은 비록 얻어진 자료는 표본 모집의 자료이지만 그 결론은 전체집단에 대한 결론이다. 즉 전체집단에서 상관이 있다는 결론이다. 둘째는 귀무가설을 세운다는 점이다. 귀무가설이란 검증하고자 하는 통계치가 의미가 없다는 가설을 말한다. 일단 통계치가 의미가 없다는 귀무..
외적 타당성 외적 타당성이란 연구의 결과를 다른 대상, 상황, 시기 등에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대상에 대한 일반화는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 이외의 다른 대상(성별, 나이, 직업, 국적, 민족 등)에 대한 일반화이며, 상황에 대한 일반화는 연구에 사용된 상황과 다른 조건(장소, 기관. 과목, 상담자, 상담 방법 등), 시기에 대한 일반화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로 그 시기가 아닌 다른 시기(하루의 다른 시간대, 다른 시대 등)에 대한 일반화를 뜻한다. 외적 타당성은 전형적으로 표본과 전체집단의 개념을 사용한다. 실제 연구에서는 표본이 된 대상. 표본이 모집된 상황, 표본이 모집된 시기가 있기 마련인데 전통적 의미의 일반화는 표본의 모집을 통한 연구 결과를 전체집단으로(대상, 상황, 시기적 측면에..